러시아 국방부가 공개한 극초음속 활공체, 아방가르드를 탑재한 대륙간탄도미사일, ICBM입니다. <br /> <br />핵을 탑재한 극초음속 미사일을 지하 발사 시설, 사일로에 배치하는 장면입니다. <br /> <br />아방가르드는 로켓에서 분리되어 음속의 최대 27배, 즉, 시속 34,000km의 극초음속 속도로 급격히 기동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마하5 이상의 속도로 지구상 어느 곳이라도 3시간 이내 타격할 수 있는 차세대 무기입니다. <br /> <br />재래식 미사일과 달리 예측 가능한 궤적을 그리지 않아 미래전의 양상을 바꿀 주요 전력으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018년 아방가르드 극초음속 활공체를 발표하며 미국의 차세대 무기 개발에 대한 대응책이라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언론에선 '푸틴의 자존심'이라고 불렀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러시아는 2019년 같은 시설에 처음으로 극초음속 활공체인 아방가르드를 장착한 미사일을 배치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미 실전 사용도 마쳤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5월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군사목표에 대해 극초음속 미사일 ‘킨잘’을 발사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극초음속 미사일을 실전에 사용한 세계 최초 사례입니다. <br /> <br />중국도 마찬가지로 극초음속 미사일을 포함한 다양한 새로운 무기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미 마하 10의 극초음속 미사일 둥펑(DF)-17을 실전 배치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각에서는 중국이 그보다 업그레이드된 둥펑-27도 이미 운용하고 있다고 관측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극초음속무기(Long-Range Hypersonic Weapon)경쟁에서 러시아와 중국에 뒤처진 것으로 평가받는 미국은 최근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극초음속 무기는 속도와 기동성 덕분에 현재의 방공 및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회피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는 적의 방어망을 뚫고 정확하게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'게임 체인저'로 불리는 극초음속 미사일은 전 세계적인 개발 경쟁을 촉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를 선두로 중국, 미국이 앞서있고 독일, 프랑스, 이란, 일본, 인도 등이 따라가고 있는 양상입니다. <br /> <br />북한 역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9월 러시아를 방문한 김정은 위원장이 러시아 전략 무기인 극초음속 미사일 킨잘을 시찰한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의 극초음속 미사일 실전 배치와 사용은 군사 강국 미국에 대한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려는 전략적 움직임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재형 (jhkim03@ytn.co.kr)<br />YTN 손민성 (smis93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1117202143745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